http://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984
‘2021 서울국제도서전’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정세랑·황소윤·최재천 홍보대사로 활동
기자명 이미숙 기자 입력 2021.09.02 08:19
[한국강사신문 이미숙 기자] 대한민국 최대 책 문화축제인 ‘2021 서울국제도서전’이 (사)대한출판문화협회(회장 윤철호) 주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 후원으로 9월 8일(수)부터 12일(일)까지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와 도서전 공식 누리집(sibf.or.kr)에서 동시에 열린다.
27회째를 맞이한 올해 도서전의 주제는 ‘긋닛(斷續-Punctuation)*’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잠시 멈추어진 일상이 마침표가 될지, 아니면 이전의 일상으로 이어지는 쉼표가 될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코로나19 이후에 가야 할 길을 함께 고민하고 이야기를 나눈다.
* 긋닛: 단속(斷續)의 순 우리 옛말. ‘끊겼다 이어졌다’의 의미로 마침표(.), 쉼표(,)의 의미 내포
코로나19로 인해 기존 코엑스에서 열렸던 오프라인 행사는 공간을 성수동으로 옮겨 다양한 전시와 오프라인 시장(마켓), 강연 등을 선보인다. 75개 출판사가 오프라인 시장(마켓)에 참여하고, 작가, 인문, 사회, 과학, 예술가 200여 명이 40여 회의 강연과 대담을 진행하며, 150여 회의 프로그램이 독자들과 만난다. 홍보대사로는 소설가 정세랑, 생물학자 최재천, 음악가 황소윤이 활동한다.
독자들이 사랑하는 국내외 작가 참여, 다양한 시각의 강연과 전시, 끊어진 것을 이어 새로운 길을 모색한다
생물학자 최재천이 ‘긋닛, 자연이 우릴 쉬어 가라 하네’를 주제로 개막 강연(9. 8.)을 진행하고, 소리꾼 이자람, 건축가 노은주, 소설가 정세랑, 영화배우 문소리가 ‘긋닛’을 주제로 다양한 강연을 이어간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자본주의’, ‘노동’, ‘불평등’, ‘원격기술’, ‘알고리즘’ 등을 주제로 코로나19 이후의 상황을 논의하는 토론회(세미나)도 열린다.
아울러 코로나로 인해 직접 만나기 어려운 국내외 작가들을 온라인을 통해 만날 수 있는 작가 행사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의 요나스 요나손 작가가 직접 촬영한 영상, 한강 작가와 맥스 포터 작가(‘슬픔은 날개 달린 것’의 저자)의 대담 영상, ‘빅 픽처’의 더글라스 케네디의 작품 세계를 살펴보는 인터뷰 영상 등을 도서전 기간 중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에서 만날 수 있다. 프랑스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 프랑스 스릴러 작가인 막심샤탕과 서미애 소설가의 대담, 정유정 소설가 강연 등은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도서전의 70년, 웹툰·웹소설의 20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나다
특히 올해는 ▲ 주제전시인 <긋닛: 뉴 월드 커밍>을 통해 서울도서전의 지나온 70년 역사를 조망하고, ▲ 기획전시 <비비디더블유케이(BBDWK)*>에서는 1963년부터 독일 북아트재단이 주최해온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공모전의 역사와 함께 올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골든레터(Golden Letter)’를 수상한 한국도서 ‘푀유(FEUILLES)’도 만날 수 있다. ▲ 웹툰·웹소설 특별전시 <파동>에서는 다양하고 완성도 높은 작품들과 인스타툰 작가들의 이야기, 웹툰, 웹소설의 지난 20년 역사를 돌아본다. 전시와 함께 ▲ 웹툰과 웹소설을 조망해보는 ‘디지털북 세미나’,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수상 디자이너들과 책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는 ‘2020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디자이너 이야기(토크)’ 등도 준비했다. 75개 출판사가 준비한 ‘책문화 프로그램’도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에서 진행된다. 출판사 소개는 도서전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비비디더블유케이(BBDWK)>: Best Book Design from all over the World and Korea
도서전에서만 만나는 한정판 책과 새 표지 책, 신간도서 발행
올해도 도서전에서만 만날 수 있는 한정판 책이 나온다. <긋닛>을 주제로 작가 26명*이 참여해 한정판 책을 펴내고 여러 강연에도 함께한다.
* 참여작가(26명): 소설가(김연수, 배명훈, 천운영, 이기호, 최정화, 김인숙, 손원평, 이길보라, 정지향, 남궁인), 희곡작가(김도영), 시인(김혜순, 김행숙, 이장욱, 유희경, 이제니, 진은영, 신해욱, 김현, 백은선, 서윤후, 황인찬), 사진작가(정멜멜, 최요한, 권도연, 최용준)
또한 기존 책의 표지를 새롭게 바꿔 선보이는 <다시, 이 책>(10종)과, 아직 어디에도 소개되지 않은 신간 도서 <가을, 첫 책>(10종)을 각 출판사 전시공간과 네이버 ‘책방라이브’에서 먼저 소개한 후 9월 13일부터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YES24) 행사를 통해 판매할 예정이다.
올해는 도서전에 오지 못하는 독자들이 동네서점을 여행하듯이 다니면서 책을 만날 수 있는 <책도시산책>이 도서전보다 일주일 먼저 시작된다. 서울뿐만 아니라 대전, 부산, 제주 지역의 총 124개 서점이 ‘긋닛’에 맞춘 추천 도서 3권과 각 서점만의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해외 출판인과의 비대면 교류를 위한 <온라인 저작권센터> 운영
도서전이 저작권 수출 교역의 중심인 만큼 해외 출판인들이 비대면으로 교류할 수 있는 온라인 저작권센터(rights-center.sibf.or.kr)를 별도로 운영한다. 서울에서 직접 만나지 못하는 국내외 출판 전문가들은 온라인으로 저작권 교류와 대담, 토론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도서전의 모든 강연과 세미나는 도서전 기간 중 도서전 누리집(sibf.or.kr)과 네이버티브이(TV), 유튜브 채널을 통해 순차 공개 또는 생중계로 진행한다.
도서전의 모든 오프라인 행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네이버 사전예약으로 운영한다. 현장에서는 코로나19 방역지침을 준수해 관람객 인원을 통제하고 실시간으로 방역하는 것은 물론 모든 상주 인원은 유전자증폭(PCR) 사전검사를 실시해 도서전을 안전하게 개최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작가, 출판인, 독자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책으로 소통하고 즐기는 책 문화축제가 펼쳐지길 바란다.”라며, “최근 한국 출판콘텐츠가 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만큼 문체부도 우리 책과 문화가 세계 출판문화를 선도하며 더욱 많은 세계인에게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2021 제27회 서울국제도서전 개요》
○ (행 사 명) 2021 서울국제도서전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2021)
○ (일시/장소) 9/8(수)~9/12(일), 5일간 / 성수동 에스팩토리 A동, D동
○ (주최/주관) (사)대한출판문화협회 / 서울국제도서전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
○ (협찬) 한솔제지, Ariul
○ (협력기관) 주한프랑스대사관, 리옹추리물축제, 리옹시, 주한독일문화원, 한국문학번역원, 교보문고, 알라딘, YES24, NAVER, 레몬, CLASKA, 과천국립과학관, 비상교육, 구일도시
○ (공간협력) S-Factory
○ (홍보대사) 정세랑(소설가), 최재천(생물학자), 황소윤(뮤지션)
○ (개최규모) 75개 출판사 오프라인 마켓 참여
200여 명의 작가, 인문, 사회, 과학, 예술가 등 참여 연사
40여 회의 도서전 기획 강연, 대담 책캐스트
150여 개의 프로그램
○ (관람료) 성인 10,000원 / 아동청소년 5,000원
○ (예약) 모든 오프라인 프로그램은 네이버 예약을 통해 사전 예매
리커버 도서 <다시, 이 책> 목록
『꿈』 프란츠 카프카 지음, 배수아 옮김 (워크룸 프레스)
『나는 나를 돌봅니다』 박진영 (우리학교)
『내 언어에 속지 않는 법』 허새로미 (현암사)
『백년을 살아보니』 김형석 (덴스토리)
『사람의 자리』, 『로봇의 자리』 전치형 (이음)
『시선으로부터,』 정세랑 (문학동네)
『실패를 사랑하는 직업』 요조 (마음산책)
『여행자의 독서』 이희인 (북노마드)
『재인, 재욱, 재훈』 정세랑 (은행나무)
『지적자본론』 마스다 무네아키 지음, 이정환 옮김 (민음사)
신간발표도서 <가을, 첫 책> 목록
『개미는 왜 실패에도 불구하고 계속 투자하는가』 김수현 지음 (민음사)
『내게 익숙한 것들의 역사』 문부일 지음 (마음이음)
『마법에서 과학으로: 좌석과 스핀트로닉스』 김갑진 지음 (이음)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하미나 지음 (동아시아)
『사다 보면 끝이 있겠지요』 최규화 기획, 김두리 구술 (산지니)
『세 발로 하는 산책』 문소리, 류영화 지음, 강숙 그림 (마음산책)
『세상이 멈추면 나는 요가를 한다』 김이설, 김혜나, 박생강, 박주영, 정지향, 최정화 (은행나무)
『소똥구리 영양사, 포』 홍종의 지음, 그림 허구 (우리학교)
『오늘부터 베프! 베프!』 지안 지음, 김성라 그림 (문학동네)
『타임 아웃: 사람을 구하는데 진심인 편입니다』 오홍권 지음 (생각의힘 아토포스)
이미숙 기자 Kus12suk@naver.com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책꽂이](서울신문) (0) | 2021.12.06 |
---|---|
김두리 할머니 구술생애사, ‘사다 보면 끝이 있겠지요’ 출간(경북일보) (0) | 2021.12.06 |
양신영X최규화 “태교 영어, 21개월 영아 수학…사회구조적 문제”(북DB) (0) | 2021.12.06 |
대한민국은 사교육 학원 공화국...배움의 즐거움이 배움의 고통 되면 안 된다(시빅뉴스) (0) | 2021.12.06 |
요즘 책방(39) '0~7세 공부 고민 해결해드립니다', '인생은 소설이다'(전기신문) (0) | 2021.12.06 |